-
- 정영재 기자
‘목마와 숙녀’ 시구가 새겨진 시인 박인환 묘소의 추모비
박인환 계용묵 이중섭 한용운 등 잠든 현대사의 보고
시인 소설가 화가 독립운동가는 물론 스포츠 스타들도 묻힌 곳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해 볼만한 역사의 현장
서울시 중랑구 망우산에 자리 잡은 망우묘지공원은 격동기 근현대사의 보고(寶庫)다. 일제가 1933년 조성한 ‘망우리 공동묘지’에는 한때 2만8500기의 봉분이 있었으나 현재는 7500기 정도만 남아 있다. 독립운동가ㆍ시인ㆍ소설가ㆍ화가ㆍ가수 등 우리 국민의 존경과 사랑을 한 몸에 받은 분들이 ‘근심을 잊고(忘憂)’ 잠들어 있다. 지금은 산책로와 ‘인문학의 길’ 등이 잘 조성돼 시민들의 휴식과 사색의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서울시설관리공단 관계자로부터 “이 곳에 야구 원로 이영민 선생, 초대 대한축구협회장 박승빈 선생 등 스포츠계 인물도 계신다”는 얘기를 듣고 두 차례 현장을 찾았다. 산비탈과 숲속에 흩어져 있는 봉분들을 하나씩 만나면서 풍성한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시설관리공단 관계자로부터 “이 곳에 야구 원로 이영민 선생, 초대 대한축구협회장 박승빈 선생 등 스포츠계 인물도 계신다”는 얘기를 듣고 두 차례 현장을 찾았다. 산비탈과 숲속에 흩어져 있는 봉분들을 하나씩 만나면서 풍성한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목마와 숙녀’ ‘세월이 가면’ 등 주옥같은 시편을 남긴 시인 박인환(1926∼1956) 묘소에는 특별한 장치가 있다. 버튼을 누르면 가수 박인희의 낭랑한 목소리로 ‘세월이 가면’ 노래가 흘러나온다. “사랑은 가도 옛날은 남는 법/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해질 무렵 바람이 불고 나뭇잎이 흩날릴 때 이 노래를 들으면 처연한 상념에 잠기게 된다.
박인환 묘소에서 조금 더 가면 ‘백치 아다다’를 쓴 소설가 계용묵(1904∼1961)이 잠든 자리가 나온다. 현대문학사와 문우 일동이 세운 추모비가 있을 뿐 돌보는 사람이 없어 잡초가 무성하다. 그 옆엔 화가 이중섭(1916∼1956)의 묘소가 있다. 제주 서귀포에 이중섭 미술관, 부산 범일동에 이중섭 거리가 조성될 정도로 그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만 묘소는 의외로 조촐하다. 후배 차근호가 세운 추모비에는 이중섭의 그림에 나오는 두 아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박인환 묘소에서 조금 더 가면 ‘백치 아다다’를 쓴 소설가 계용묵(1904∼1961)이 잠든 자리가 나온다. 현대문학사와 문우 일동이 세운 추모비가 있을 뿐 돌보는 사람이 없어 잡초가 무성하다. 그 옆엔 화가 이중섭(1916∼1956)의 묘소가 있다. 제주 서귀포에 이중섭 미술관, 부산 범일동에 이중섭 거리가 조성될 정도로 그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만 묘소는 의외로 조촐하다. 후배 차근호가 세운 추모비에는 이중섭의 그림에 나오는 두 아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그림 속 두 아들의 모습을 새겨넣은 화가 이중섭 추모비
돌보는 이가 없어 잡초가 무성한 소설가 계용묵의 묘소
야구인 이영민(1905∼1954)의 묘터는 찾기가 어렵다. 가족들이 묘를 이장해 숲속에 직사각형 묘비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축구 선수로도 이름을 날렸던 이영민은 1923년 동대문야구장 1호 홈런을 날렸다. 대한야구협회는 그를 기려 매년 전국대회 타율이 가장 높은 고교야구 선수에게 ‘이영민 타격상’을 수여한다.
이영민 비석에서 조금 더 내려가면 ‘낙엽 따라 가버린 사랑’으로 여심을 훔쳤던 가수 차중락(1942∼1968)의 묘소를 만난다. 차중락은 중ㆍ고 시절 육상 선수였고, 대학에선 보디빌딩을 해 1961년 미스터코리아 2위에 올랐다. 1967년 TBC(동양방송) 방송가요대상 신인상을 받으며 절정의 인기를 누리던 차중락은 그 이듬해 뇌막염으로 27년의 짧은 생을 마감한다. 무덤 주위에 ‘낙엽 따라 가버린 사랑’ 노래가 흘러나올 만도 한데 아무런 시설이 없다. 망우묘지공원 관리소 측은 “전기 선을 끌어오는 데 비용이 많이 들어 박인환 묘소에만 방송 시설을 시범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이장(移葬)으로 묘비만 덩그러니 남은 야구인 이영민 묘터 |
시인 조병화의 ‘낙엽의 뜻’을 새긴 가수 차중락 추모비
조선 순조의 딸인 명온공주(1810∼1832)와 부마 김현근(1810∼1888)이 나란히 누운 묘소에는 현대사의 상흔이 새겨져 있다. 명온공주는 23세에 요절했고, 김현근은 78세까지 살았다. 이곳은 한국전쟁 인천상륙작전 당시 격전지였다고 한다. 조선 후기 양식을 보여주는 석등의 불탄 흔적과 누군가 상석에 새긴 영문 이름 등이 치열했던 전투를 짐작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