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26일 천안함 침몰 직전에 한미 양국이 서해에서 대잠수함 훈련을 포함한 해상 훈련을 진행했던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군당국은 그동안 천안함 침몰 당시 서해상에서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했지만 대잠훈련 등이 실시된 사실은 공개하지 않았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한미 연합 ‘키 리졸브’(미군 증원연습)와 독수리 훈련(야외 기동훈련)이 3월23일부터 26일까지 서해 태안반도 인근 해상에서 실시됐다”며 “사건 당일인 26일에는 오후 2시부터 9시까지 해상으로 침투해오는 적에 대비한 대특수전 작전훈련이 있었고, 오후 2시부터 5시까지는 대잠훈련도 병행했다”고 밝혔다. 원 대변인은 “천안함 사건 발생 지점과는 170㎞가량 떨어져 (사건 해상에서의) 잠수함 탐지는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그는 “훈련 당시 해군과 공군의 항공전력과 한미 해군의 수상함, 해상초계기(p3-c) 등이 참여했다”면서 “잠수함은 우리 측에서 1척이 동원됐고 미국 잠수함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 잠수함이 천안함을 오폭했다는 루머는 전혀 근거가 없고, 우리 측 잠수함도 천안함과는 170㎞ 이상 떨어져 실수로라도 어뢰를 쏠 수 있는 거리가 아니었다는 것이 국방부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군 일각에서는 상황 발생 초기 의혹이 숱하게 제기됐을 때 훈련일정 등을 적절하게 공개했더라면 이 같은 ‘소모성 논란’을 겪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원 대변인은 또 러시아 천안함 조사단이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의문을 표시했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러시아 조사단은 본국으로 돌아가 보고하고 거기서 (러시아당국) 이야기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방부는 합조단을 유엔에 파견해 천안함 조사 결과를 유엔 안보리 이사국들에 설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방부는 윤덕용 공동조사단장과 조사분과팀장들을 중심으로 파견단을 구성해 유엔 안보리 이사국들에 조사 결과를 설명할 계획이다. 정부는 천안함 사건이 안보리에 상정됨에 따라 대북 결의 등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조사단이 현지에서 직접 설명하는 것이 이사국들을 설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